보안 |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아사나의 MCP 서버가 공개된 지 한 달 만에, 다른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버그가 발견됐다. 보안 리더라면 아사나 사례가 아니더라도 MCP와 관련된 보안 사항을 점검해야 한다.
사이버 범죄자들이 그록(Grok)과 믹스트랄(Mixtral) 같은 주요 LLM의 API를 탈옥(jailbreak) 프롬프트로 변조해, 웜GPT(WormGPT)를 피싱 및 악성코드 생성 도구로 다시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믿고 싶지만 온전히 믿을 수 없는 AI를 안전하게 활용하려면, 지켜보고 감시하고 통제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더구나 AI가 AI 에이전트(Agent)와 에이전틱(Agentic) AI로 발전하고 고도화되면서 이
사이버 사고를 겪은 보안 책임자 5명이 실전에서 얻은 교훈을 밝혔다. 이들은 사고 수습을 넘어, 사이버보안 전략을 새롭게 다듬고 있다.
급여과 복지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CISO들은 사이버 보안 인재와 관리자를 모두 성장시킬 수 있는 역량 강화 및 경력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지속적이고 정교해진 DDoS 공격으로 인해 아태지역 금융 부문의 서비스 연속성과 신뢰성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이에 따라 대응 체계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시스코가 요즘 주목하는 핵심 키워드는 단연 ‘보안’이다. 네트워크 기업에서 보안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중인 시스코는, AI 시대를 맞아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
브라우저베놈(BrowserVenom)은 웹 트래픽을 우회 및 조작해 민감한 브라우징 데이터를 수집하는 악성 임플란트다.
SK쉴더스가 2025년 1분기 KARA(Korean Anti Ransomware Alliance)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의료와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랜섬웨어 공격이 확
기술이 아닌 문화에서 시작해야 AI 도입의 마찰을 줄이고 성과를 확장할 수 있다.